"일본 군경이 총을 들고 지켜서서 조선인들에게 노역을 강제했다는 '징용공'의 이미지는 날조된 것이다"
한일 양국 간 국교 단절 위험 초래한 2018년 대법원 징용공 재판의 문제점을 낱낱이 해부한
《날조된 징용공 문제》(でっちあげの徴用工問題), 28일 한국어 번역·출간돼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의 《날조된 징용공 문제》의 한국어판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가 28일 출간됐다.(이미지=출판사 제공)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의 《날조된 징용공 문제》의 한국어판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가 28일 출간됐다.(이미지=출판사 제공)

한일갈등의 핵심 이슈인 태평양전쟁 시 조선인 노무동원(소위 '징용공') 문제와 관련해 일본인의 솔직한 입장을 담은 책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가 28일 출간됐다. 징용공 문제와 관련 일본 측의 입장과 논거를 담은 책으로는 한국에 사상 처음으로 소개되는 책이다.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의 원저명은 《날조된 징용공 문제》(でっちあげの徴用工問題)다. 일본의 대표적인 한국 및 북한 연구자인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모럴로지연구소 연구원 겸 레이타쿠대학 교수가 집필했다. 번역은 국내 베스터셀러 《반일종족주의》 공저자이자 징용공 문제 전문 연구가인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 맡았다.

니시오카 교수는 책 서두에서 한국 대법원의 이른바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서 원고 네 명 가운데 실제 징용공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는 준엄한 사실부터 지적한다. 일본인의 입장에서는 사실관계부터 크게 잘못된 이 판결은 법률적인 면에서도 치명적 문제를 갖고 있다. 국내법인 한국의 법률로써 다른 법질서를 적용받는 일본의 기관, 기업을 옥죄려 하고 있기 때문에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는 것이다. 한국인들은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일본인들에게는 곧 한일 양국 간 국교 단절를 의미할 정도로 심각한 외교적 문제를 낳는다는 현실 자체를 모르고 있다.

니시오카 교수는 국교 파기 위기까지 부른 징용공 문제의 핵심 원인으로 근현대사 사실관계 문제와 관련해 한국인들이 큰 오해를 하고 있다고도 지적한다. 한국인들이 징용공 문제로 믿고 있는 '강제연행'과 '노예노동' 모두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책 내용에 따르면, 태평양전쟁 당시 전시 노무동원은 크게 세 종류로, '모집', '관알선', '징용'이 있었다. 이 가운데 강제력이 수반되는 '징용'은 조선인에게는 1944년 9월 이후에 적용됐으며, 실질적으로는 종전 때까지 6개월도 채 진행되지 못했다. 이전부터 있었던 '모집'과 '관알선'에 의해 일본으로 건너간 이들은 사실상 자발적으로 도항한 경우에 해당한다. 일본은 오히려 밀항자 단속에 애를 먹었을 정도다.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압도적인 통계와 기사가 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이런 자료는 전혀 들여다보지 않고 '강제연행' 주장만을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에서는 조선인이 일한 작업장을 흔히 철조망에 군경(軍警)이 총을 들고 감시하는 '강제수용소'로 묘사하곤 하지만 일방적 증언 외에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아직까지 제시되지 못했다. 책은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인 노동자들이 임금을 받지 못했다거나 임금차별을 당했다는 것도 일반적 사실과 거리가 멀다고 말한다. 니시오카 교수가 인용한 어느 조선인의 수기에는 도박을 하거나 외식, 음주를 즐기며, 전쟁미망인과 밀회를 즐기는 장면까지 나온다. 징용으로 일본에 건너갔지만 원 작업장에서 이탈하고도 자유 노동자로서 고액의 임금을 받았으며 담배와 막걸리도 쉽게 구했다는 어느 조선인의 수기도 있다.

저자인 니시오카 교수는 "살아 있는 동안에 내가 한일간 역사 문제에 대해 쓴 책이 한국에서 한국어로 소개되는 날이 올 것이라고는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감격스럽다"면서 "부디 한국인이 징용공 문제와 관련해 '논적(論敵)인 일본인의 솔직한 생각을 알고 싶다'는 입장만으로라도 내 책 내용을 많이들 살펴봐주었으면 고맙겠다"는 의견을 전했다.

책을 번역한 이우연 위원은 "외교적 협정이나 법률의 측면에서만 아니라, 역사적 실태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 니시오카 교수가 쓴 이 책의 특징"이라면서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의 측면에서 한국인도 충분히 수긍할 수 있는 내용으로, 징용공 문제와 관련 앞으로 한국의 논의 수준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순종 기자 franci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