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5%포인트 인상한 年1.50~1.75%로
美 경제성장 자신감 반영...한국에서 자본유출 우려
美 올해 두 차례 더, 내년에도 세 차례 인상 전망
미국 금리인상 발 맞춰 중국도 단기 정책금리 인상
한은 이주열 총재 "국내 영향 크지 않지만 경각심을 갖고 지켜 보겠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개월 만에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연준은 워싱턴DC 본부에서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인 연금기금 금리를 현재의 연(年) 1.25~1.50%에서 1.50~1.75%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했다고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지난달 취임한 제롬 파월 의장은 처음 주재한 FOMC에서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 들었다.

연준은 이날 만장일치(찬성 8표, 반대 0표)로 금리인상을 결정했고, 인상폭은 대부분 전문가의 예상과 동일하다. 이번 금리인상은 지난해 3차례 인상에 이어 올해 첫 기준 금리 인상이다. 아울러 지난 2015년 12월 '제로금리' 이후로는 6번째 금리 인상이기도 하다.

연준은 이날 올해 기준금리를 3차례 인상하겠다는 기존 기조를 유지했다. 내년 금리 인상에 대해선 기존 2차례에서 3차례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치를 2.1%로 유지했다. 내년과 2020년 금리 전망치는 각각 2.7%에서 2.9%, 3.1%에서 3.4%로 높였고, 장기 기준금리 수준도 2.8%에서 2.9%로 상향조정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배경에는 경제 성장과 실물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조치로 소비·투자·고용 지표가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연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2월 2.5%보다 높은 2.7%로 제시했으며 내년 전망치 역시 2.1%에서 2.4%로 상향조정했다. 다만 2020년과 장기 성장 전망치는 각각 2.0%와 1.8%로 유지됐다

한편 이번 금리 인상을 기점으로, 미국의 정책금리 상단은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50%)를 웃돌게 됐다. 한미 정책금리가 뒤집힌 것은 2007년 8월 이후 10년 7개월 만이다.

연준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한다면,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자본유출을 자극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리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움직이는 돈의 속성상 한국에 들어와 있던 외국인 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또한 미국 금리 인상 이후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 투자가들이 채권시장에서 돈을 빼내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 금리 인상 국면에서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불안요인이다. 이달 1~10일 수출은 13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했다. 한국 기업의 수익성과 경기 상황에 영향을 받는 장기적 해외 자본에도 영향이 갈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미국 연준의 결정으로 내외 금리가 역전됐는데 정말 경각심을 갖고 지켜보겠다"며 ”금리 인상은 시장 예상에 부합하기에 국내 금융시장에는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총재는 “금융 시장이 불안해지면 여러 가지 수단을 동원해 안정화 노력을 할 것이지만 변수가 많아 우리 금리를 인상을 고려하는 시점이 언제라고 예단해서 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미 금리 역전으로 외국인 자본이 이탈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한국무역협회는 “외국인들이 중장기 원화 채권 보유를 최근 늘린 점을 감안하면 자금 이탈 우려는 크지 않다”는 요지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무역협회는 ‘미국 금리 인상과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작년 미국의 세 차례 금리 인상에도 외국인 자금 유출은 없었다“며 ”지난해 외국인 자금 유출은 북한 미사일 발사 등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영향이었다“고 분석했다.

중국 중앙은행도 22일 단기 정책 금리를 인상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날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7일물의 입찰금리를 2.55%로 0.05%포인트 인상했다.역RP는 단기 유동성 지표로, 사실상 중국의 정책 금리 역할을 한다. 인민은행은 공식 기준금리인 1년 만기 기준 대출금리와 예금금리를 2015년 10월 이후 동결하고 있다.

김민찬 기자 mkim@pennmike.com
윤희성 기자 uniflow8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