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이끄는 제롬 파월 의장이 27일(현지시간) 연내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시작을 시사했다.

그러나 테이퍼링 시작이 곧 기준금리 인상의 '신호탄'이 되는 것은 아니라며 금리 인상까지는 갈 길이 멀다고 못박았다.

파월 의장은 이날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이 온라인으로 주최한 잭슨홀 연례 심포지엄에서 이런 견해를 밝혔다고 블룸버그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그는 연내 테이퍼링 찬성론이 우세했던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언급하면서 "나도 대부분의 참석자들처럼 경제가 기대만큼 광범위하게 발전한다면 올해 안에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기 시작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는 견해를 가졌다"고 말했다.

이어 "7월 고용 보고서에서 추가 진전이 나타났지만, 델타 변이도 더 확산했다"면서 "우리는 향후 경제 지표와 진행 중인 리스크를 신중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본적으로 올해 중 테이퍼링 시작을 지지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추이와 고용 회복세의 지속 여부 등을 면밀히 살펴보고 최종 결정을 내리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연준이 월 1천200억달러 상당의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 매입 규모를 줄여나가는 테이퍼링에 착수하더라도 이를 기준금리 인상의 신호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파월 의장은 강조했다.

그는 "향후 자산매입 감축의 시기와 속도가 금리 인상 시기에 관한 직접적인 시그널을 전달하는 것은 아니다"며 금리 인상에 대해선 테이퍼링과 다르고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파월 의장은 장기 평균 2%의 물가상승률과 최대 고용의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현재의 '제로 금리'를 유지하겠다는 의사를 재확인한 뒤 "우리는 최대 고용에 도달하기까지 갈 길이 한참 남았다"고 지적했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선 "지속적인 관점에서 물가상승률이 2%에 도달한 것인지 아닌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의 높은 물가상승률은 "대부분 코로나19 대유행과 경제 재개의 직접 영향을 받은 (중고차 등) 몇몇 상품과 서비스 때문"이라면서 대유행이 끝나면 인플레이션 완화 압력이 다시 강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파월 의장의 이런 언급은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큰 인플레이션 때문에 섣불리 금리를 올렸다가 고용을 포함한 경제 전반의 회복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해 '비둘기'(통화완화 선호)적 메시지를 시장에 전달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뉴욕증시는 파월 의장의 연설 직후 상승폭을 키우며 화답했다.

전날 주춤했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또 경신했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도 200포인트 넘게 상승 중이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