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 어려워지면서 규제 덜 받는 전세자금대출 수요 늘어나

연합뉴스 제공

20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3월 말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50조7,712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과 비교해 1조7,706억 원(3.61%) 늘었고, 지난해 동월 대비 24조3,194억 원(40.99%) 증가했다.

시중은행 전세자금대출 잔액 규모는 2016년 8월 30조 원을 넘어섰고, 1년 후인 작년 8월엔 40조 원을 넘겼다. 이후 증가세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이번엔 8개월 만에 50조 원을 넘긴 셈이다. 특히 올해 1분기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5조786억 원 증가했다. 그동안 분기별 증가액이 4조 원을 넘긴 적조차 없던 것을 고려하면 가파른 상승폭이다.

이는 최근 정부가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에 시장이 반응하여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전세자금대출에 수요가 쏠린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강화한 데 이어 올해 1월부터 주택담보대출을 옥죄는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 제도를 도입했다. 지난달에는 각 시중은행이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을 도입했다. DSR은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카드론, 자동차 할부금까지 모두 합산해 대출가능액을 제한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세자금대출은 이 같은 정부의 대출 규제를 피할 수 있다.

LTV 규제에 따라 현재 서울과 세종, 과천 등지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려면 집값의 40%까지만 받을 수 있지만 전세자금대출의 경우 전세금의 8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또 DSR 산정 시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등은 모두 연 상환 원리금을 반영하지만, 전세자금대출은 예외적으로 이자만 반영하도록 했다. 가계대출 규제의 강화로 전세자금대출으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이에 한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차선책으로 전세자금을 빌리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