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제조기업이 최근 10년간 전체의 3분의 1 수준이 됐다. 부실징후 제조업종의 비중이 79%로까지 치솟는 등 기업·산업 구조조정 압력이 한층 커졌다.

산업연구원이 17일 발표한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제조업 내 모든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 지표인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을 따져봤다. 이를 통해 100% 미만인 경우는 부실징후 기업, 100% 이상인 기업은 양호 기업으로 분류됐으며 10년간의 부실징후 변화 추이를 제시했다.

부실징후 기업군의 비중은 외감기업(정기적으로 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 기준 2009년 22.1%에서 2020년 32.8%로, 상장사 기준 30.4%에서 39.4%로 각각 확대됐다.

연구원은 2020년 부실징후 기업군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도 높았다고 밝혔다.

제조업 내 산업군도 내수와 수출 중 하나라도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업종은 부실징후 산업군으로, 둘 모두 플러스 성장을 하는 업종을 양호 산업군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부실징후 산업군의 실질생산액이 제조업 전체의 실질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9.1%에서 2019년 78.7%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동안 양호 산업군의 비중은 70.9%에서 21.8%로 크게 하락했다.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과 그 이후 경기 호조기의 외감기업 동향을 살펴본 결과 양호 산업 영역에서 활동하는 기업은 점차 줄고 부실징후 산업 영역에서 활동하는 기업은 늘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부실징후 기업과 산업의 분포상으로 볼때 산업·기업 구조조정 압력은 여전히 높은 편"이라며 "향후 경제 여건이 변화돼 금리가 인상된다면 그간 저금리와 코로나19 특별 금융에 의존해 온 부실징후 기업 중 적어도 일부는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 "산업·기업 구조조정 압력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