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진료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해 ‘원스톱진료기관’ 1만개소를 목표로 추진중이다. 코로나 검사와 진료, 처방까지 가능한 동네병원을 원스톱진료기관으로 지정하고 홍보하는 상황이다.

원스톱진료기관 목록은 ‘정부 코로나19 홈페이지’와 네이버 등 포털에서 검색하면 찾을 수 있다. 가장 업데이트가 빠른 곳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평정보통’ 메뉴이다.

코로나 의심 환자, 원스톱진료기관 찾았다가 헛걸음하기 십상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은 지난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중대본 회의에서 "원스톱진료기관도 2일 기준 9314개소를 확보해, 증상이 있는 분들이 신속하게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고 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이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이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스톱진료기관을 통해 코로나를 독감처럼 일상 속에서 관리하겠다는 것이 방역당국의 계획이다. 하지만 막상 이들 원스톱진료기관을 찾아가보면, 아예 검사를 안하거나 대면진료가 안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검사와 진료를 하더라도 치료제 처방은 안 되는 경우도 허다했다.

무더위에 기력을 잃어가는 코로나 의심 환자가 원스톱진료기관에서 검사부터 진료와 처방까지 다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다간 헛걸음하기 십상이라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호흡기환자진료센터와 원스톱진료기관 구별 어려워

특히 ‘호흡기환자진료센터’와 ‘원스톱진료기관’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과 안내가 부족해, 일반 국민들로서는 혼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지난달 1일부터 기존 코로나19 검사‧치료기관을 통합해서 부르는 명칭이다. 지금까지 코로나19 대면진료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달라 이름으로 구분해왔던 호흡기전담클리닉, 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 외래진료센터, 전화상담병의원 등의 명칭을 호흡기환자진료센터로 통합한 것이다. 코로나19 확진자 대면진료 대응을 강화하고 재유행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지난 3일 기준,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총 1만3593개로 확인된다.

호흡기환자진료센터 중에서도 원스톱진료기관은 유증상자의 검사, 코로나19 치료제(팍스로비드, 라게브리오) 처방, 대면진료까지 한 곳에서 모두 가능한 의료기관을 말한다. 전국에 9314개소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코로나19 확진이 의심스러울 경우, 가장 먼저 방문해야 하는 곳이 원스톱진료기관인 것이다.

직장인 K씨, 원스톱진료기관 3곳 방문했지만 확진 판정만 받고 귀가

최근 코로나19 증상을 경험한 직장인 K씨는 검사부터 받기 위해 포털에서 원스톱진료기관을 검색했다. 가장 가까운 가정의학과를 들른 K씨는 “잘못된 정보가 올라가 있다”면서 “약국에 가서 진단키트 사서 검사해보시고 이상 있으시면 보건소로 가세요"라는 간호사의 설명을 들었다.

이번에는 원스톱진료기관으로 등록된 내과의원을 찾았지만, “원스톱진료기관으로 등록된 건 맞지만, 호흡기환자진료센터 허가를 다시 밟는 중이라 검사와 진료가 어렵다”는 대답을 들었다.

마지막으로 근처 이비인후과를 방문한 K씨는 검사를 받고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대면 진료를 받지 못해, 치료제 처방을 받지 못했다. 건물 내부 동선상 코로나19 환자는 특정 시간대에 예약진료만 가능하다는 제약 조건 때문이었다.

팍스로비드 처방 못해주는 ‘원스톱진료기관’이 부지기수

정부는 검사부터 진료, 처방까지 한 번에 가능한 ‘원스톱진료기관’을 내세우고 있지만, 막상 현실은 전혀 달랐다. 포털에서 검색되는 내용과 정부 홈페이지에 표시된 내용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포털에는 원스톱진료기관으로 표시돼 있지만, ‘심평정보통’에서는 전화상담만 가능한 비대면진료기관으로 표시된 경우가 많았다. K씨가 포털과 정부 홈페이지를 대조해보지 않는 이상, 다르게 표시된 점을 확인하기 어려웠던 셈이다.

정부는 원스톱진료기관이 전국적으로 9314개소 (지난 2일 기준) 확보했다고 홍보하지만, 실제로는 진료가 제대로 되지 않는 곳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채널A 캡처]
정부는 원스톱진료기관이 전국적으로 9314개소 (지난 2일 기준) 확보했다고 홍보하지만, 실제로는 진료가 제대로 되지 않는 곳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채널A 캡처]

심지어 정부 홈페이지와 심평원 홈페이지에 표시된 내용과 실상이 다른 경우도 많았다. K씨가 두 번째로 들른 내과에서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없었지만, 정부 홈페이지와 심평원 홈페이지에서는 진료와 처방이 모두 가능하다고 표시돼 있었다. 가장 정확하다는 심평원 홈페이지에서조차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게 드러난 셈이다.

특히 먹는 치료제를 처방해주는 곳은 찾기가 더 어렵다는 불평이 쏟아지고 있다. 4일 채널A의 보도에 따르면, 서울 노원구에 있는 30곳의 원스톱진료기관 중 9곳은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처방이 안 된다고 한다.

홍보에만 열 올리는 정부, 실질적 검사와 진료 서비스 제공에 힘써야

정부는 코로나 의료체계 개편안을 발표할 당시, 7월 중순까지는 원스톱진료기관의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때까지는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직접 전화를 걸어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7월 중순이 지나고 8월 초에 접어들었지만 아직까지도 원스톱진료기관의 현황은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동네 병·의원들이 가산 수가를 지급하는 원스톱진료기관을 신청했지만, 동선 분리와 ‘예약 진료만 가능’ 등의 현실적인 문제로 운영을 지속하기 어려운 때문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원스톱진료기관의 숫자 홍보에 치중하는 대신, 코로나 의심 환자들이 빠른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