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치솟고 부동산·주식·코인 등 자산 시장이 얼어붙었다. 이같은 여파로 올해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통계 작성 이후 18년 만에 처음 전년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가계대출 규제에 나섰던 정부는 은행들에게 내년 가계대출 관리 목표조차 요구하지 않고 있다.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사실상 사라진 것이다.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15일 기준으로 693조6천469억원. 작년 말(709조529억원)보다 15조4천60억원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전세대출 포함)은 1년 사이 6조3천564억원(505조4천46억원→511조7천610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은 18조2천68억원(139조5천572억원→121조3천504억원)이나 급감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내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월별 통계에서도, 은행뿐 아니라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까지 포함한 전체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통계에서도 가계대출 규모는 뒷걸음친 상태다. 때문에 올해 은행과 전체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잔액이 통계 작성 이후 18년 만에 첫 감소 기록을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월별 통계는 2003년 10월부터 집계됐고 연간 증감은 2004년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예금은행은 물론 전체 예금취급기관 기준으로도 연말 가계대출 잔액이 전년 말보다 줄어든 적은 없다.

대출자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한 게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올해 초 4%대 후반이었던 시중은행의 주택담보·신용대출 금리 상단은 최근 8%에 육박했다. 대출자들은 마이너스 통장을 포함한 신용대출부터 서둘러 갚고 있다. 자산시장이 냉각되니 레버리지(차입 투자)를 노린 대출 수요 역시 급감했다.

수년간 은행권을 강하게 압박해온 가계대출 총량 관리는 사실상 없어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들은 "가계대출 업무를 2019년부터 맡았는데, 형식은 다소 달랐지만 거의 해마다 대출 관리 계획서를 제출해왔다"며 "연말에 내년 대출 관리 계획을 내지 않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가계대출이 워낙 부진하니 사실상 정부도 수년 만에 처음 대출 총량 관리를 중단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했다.

또 "12월 중순이 넘었는데도 요청이 없어 일부 은행이 당국 쪽에 문의까지 했는데, 당국으로부터 가계대출이 계속 줄어드는데 (총량을) 관리하는 의미가 있느냐는 취지의 답을 받은 것으로 안다"고 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