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한국 조선업계가 중국에 세계 시장 1위를 내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의 잠정 집계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4천193만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지난해보다 22% 감소했다. 여기서 한국은 작년 대비 11% 감소한 1천564만CGT(37%)를 수주하며 중국(2천34CGT·49%)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2020년까지 3년 연속 수주 1위에 오른 한국은 지난해부터 수주량에서 자국 발주 물량이 뒷받침된 중국에 밀리고 있다.

수주 선종을 보면 한국은 LNG 운반선 등 가스 운반선에서 강세였다. 한국 수주 선종은 LNG 운반선 1천12만CGT(65%), 컨테이너선 426만CGT(27%) 순으로 집계됐는데 두 선종이 전체 수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2%나 됐다. 올해 한국은 벌크선은 1척도 수주하지 않았다.

반면 중국은 컨테이너선 676만CGT(33%), LNG 운반선 440만CGT(22%), 벌크선 332만CGT(16%) 순이었다.

한국은 고부가가치 선박인 가스운반선, 중국은 저부가가치 선박인 벌크선이나 소형 컨테이너선으로 나뉘었다.

올해 전세계에서 발주된 LNG 운반선은 작년 대비 130% 증가한 1천452만CGT였다. 한국과 중국은 각각 1천12만CGT, 440만CGT를 수주했고 점유율은 각각 70%, 30%였다.

지난해 한국이 전체 LNG 운반선 발주량의 93%인 582만CGT를 수주한 반면 중국의 LNG 운반선 수주량은 46만CGT(7.4%)에 불과했다.

중국이 지난해에 비해 LNG 운반선 수주량이나 점유율을 크게 늘린 모습이다.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서도 중국이 위협적으로 치고 올라오는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 수주 물량 초과에 따른 일시적 반사이익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한국은 독(건조공간) 수 자체가 제한돼 현재 2026년 말 인도 물량까지 예약이 꽉 찬 상태다. 반면 중국은 전국 곳곳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빠른 공급을 원하는 선주들이 '꿩 대신 닭'을 찾는 격으로 중국 조선업체를 찾았고 중국의 LNG 운반선 점유율이 크게 늘어나게 됐다.

한국 조선업계는 건조가 어렵고 선가가 가장 비싼 선박인 LNG 운반선 수요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대 섞인 전망을 내놓는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이 중국과 비교해 양적 수주량은 크게 밀리지만 LNG 운반선을 중심으로 한 선별 수주 영향으로 수익성은 개선될 전망"이라고 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