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도 윤석열 대통령의 한일관계 정상화를 기대하고 있다"
"북한도 윤석열 대통령의 한일관계 정상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량난 겪는 北, 200억달러 규모 대일청구권 존재

2018년과 2019년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당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간에 두차례의 북미정상회담이 열렸을 때, 최대의 현안은 북한 핵문제 해결이었지만 부수적으로 관심을 모았던 것이 북미수교 및 북한과 일본의 수교, 즉 북일관계 정상화였다. 

당시 미국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한국과 함께 제공할 경제지원 외에 일본으로부터 받을 배상금, 거액의 청구권이 김정은과 북한의 핵포기를 압박할 수 있는 중요한 카드로 보고 있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 연합군은 패전국인 일본에 대규모 배상 책임을 부여했다. 전쟁으로 파괴된 피해국의 사회기반시설(SOC)을 재건하는데 일본이 직접 자금을 지원하라는 의미에서다. 일본의 침략에 피해를 본 아시아 국가는 차례로 배상금을 받는다.

1954년 버마(현 미얀마)가 2억 달러, 56년 필리핀이 5억5000만 달러, 58년 인도네시아가 2억2300만 달러를 차례로 받았다. 그리고 65년 한국은 3억 달러를 받아 포항제철을 짓는 등 경제개발에 나섰다. 일본에 침략 피해 배상금을 청구할 권리, 바로 대일 청구권을 행사한 사례다.

2018년 6월 13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사상 첫 북미회담이 열린 다음날 국내 삼성증권은 북한이 대일 청구권을 행사해 200억 달러(약 21조5600억원)를 받을 수 있고, 이를 경제재건을 위한 종잣돈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삼성증권은 당시 보고서에서 북한의 대일 청구권에 주목했다. 보고서에서 “향후 북ㆍ일 수교 과정에서 대일 청구권이 이슈로 부상할 전망”이라며 “북한이 이 자금을 수령하게 된다면, 경제 재건의 종잣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한이 받을 수 있는 대일 청구권 액수에 대해 삼성증권은 “북한이 300억~400억 달러를 요구했다는 설이 있고, 2002년 북ㆍ일 평화 선언에서 100억 달러 수준으로 일본이 제안했다는 보도가 있었다”고 전했다. 16년 전 100억 달러를 소비자물가, 구매력을 따져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200억 달러 수준이라고 당시 삼성증권은 산출했다.

삼성증권은 이와함께 “사전에 철저한 준비와 계획 후 효율적으로 자금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며 “또한 가능하면 자금 수령 기간의 단축을 요구하고, 초기에 받을 자금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유리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더불어 “청구권 자금을 레버리지로 일본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확대될 가능성 등 우려도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당시 일본의 아베정권은 북미 정상회담을 놓고 일본 패싱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북한에 대한 전쟁배상금, 즉 청구권 지급을 전제로 북한과의 직접 대화, 북일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태도를 보였다. 

당시 일본 언론들은 삼성증권의 보고서를 인용, 북한이 일본에 청구할 수 있는 보상액은 약 200억 달러로 추산하는 한편, “북일 협상이 이뤄지면 일본은 북한에 거액의 ‘전후 배상’을 실시해야 한다는 견해가 많아지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북일관계 정상화에는 일본인 납치문제 등 적지않은 난관이 가로놓여 있다. 하지만 최근 북한이 김정일 시대 ‘고난의 행군’ 이래 최악의 식량난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200억달러에 달하는 대일청구권이 그 어느때 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북한의 대일청구권은 2차대전에 따른 전쟁배상금으로 현재 UN과 서방세계가 북한의 핵개발 및 미사일발사에 따른 무역 및 투자금지 등 포괄적 대북제재에는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북한으로서는 매우 유용한 자금이 아닐 수 없다. 

국내에서 민주당과 좌파들이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보이고 있는 전향적인 한일관계 정상화 노력과 방일에 대해 연일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한미일 군사동맹 움직임에만 반응할 뿐 한일관계 개선 움직임에 대해서는 비교적 조용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관련, 최근 정부의 안보관련 고위 당국자가 국회에서 “한일관계 개선은 북한으로서도 나쁠 것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는데 북한의 대일청구권에 대한 기대감을 지적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따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