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행' 속 최저임금위 전원회의 내달 2일 속행
올해 최저임금 9620원. 3.95%만 올라도 1만원
노동계, 최저임금 1만2000원 운동본부 출범
편의점 업계에선 '주휴수당 폐지'도 요구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려 파행으로 끝난 최저임금위원회 제1차 전원회의. [연합]
서울시내 한 무인 편의점에서 시민이 셀프계산대에서 물건을 구입하고 있다. [연합]

특정 공익위원과 관련한 논란 끝에 파행으로 마무리됐던  최저임금위원회 제1차 전원회의가 내달초 다시 열리기로 예정된 가운데 편의점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저임금 인상률 등을 결정하는 최저임금위 전원회의가 내달 2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다. 

편의점은 보통 주 7일, 하루 24시간 영업을 한다. 따라서 복수의 아르바이트 직원을 꼭 구해야 한다. 고물가에 경기 침체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어서 최저임금이 인상될 경우 운영에 큰 부담이 되기 마련이다. 

특히 올해는 시간당 최저임금이 사상 처음으로 1만원을 넘을 가능성마저 거론되고 있어 인건비 부담에 시달려 심야 영업을 포기하는 점포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최근 5년간 최저임금과 전년 대비 인상률을 살펴보면 2019년 8350원(10.9%), 2020년 8590원(2.87%), 2021년 8720원(1.5%), 작년 9160원(5.05%), 올해 9620원(5.0%)이다. 이번에 인상률이 3.95% 이상이 될 경우 1만원을 돌파한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인건비 부담 때문에 현재 전국의 편의점 매장 5곳 중 1곳은 야간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GS25의 심야(자정∼오전 6시) 미 영업 점포 비중은 2018년 13.6%에서 지난해 20.2%까지 늘었다.올해 1분기 기준으로는 21.1%의 매장이 밤에 영업을 포기했다. 

낮에는 사람이 운영하고 밤에는 무인으로 전환하는 하이브리드 매장도 1분기 기준 698곳, 완전 무인으로 운영하는 매장은 88곳이다.

CU는 심야에 문을 닫거나 무인으로 운영하는 점포 비중은 2019년 20.6%, 2020년 20.4%였다. 2021년 17.6%, 지난해에는 16.3%로 줄었지만, 이는 코로나 기간 일부 유통업체의 야간 영업이 제한되면서 편의점으로 고객이 유입된 데 따른 현상이라고 CU 측은 설명했다. 

밤에만 무인으로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점포는 2019년 90곳에서 지난해 400곳까지 늘었다.

또 심야 영업을 점주가 결정하는 이마트24의 경우 전체 매장의 80%가 밤에 문을 닫는다.

심야에는 상대적으로 손님이 적은데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문을 열어두는 것보다 닫는 것이 수지타산이 더 맞는다는 이야기다.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은 운영 경비 중 인건비 비중이 50%에 이른다"며 "지난 몇 년간 최저임금 인상으로 이미 인건비 지급 능력이 한계에 다다른 매장이 많다"고 말했다.
편의점 업계에서는 '주휴 수당'도 큰 부담으로 보고 있다.  

일주일에 주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는 일주일에 하루씩 유급휴일이 주어져야 하며 이를 주휴일이라고 한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일에 하루 치 임금을 별도 산정하여 지급해야 하는 수당을 말한다. 주5일근무제의 경우 일주일 중 1일은 무급휴일, 다른 1일은 주휴일에 해당된다. 

월급여가 책정된 직장인의 경우 주휴수당이 기본급에 포함된 경우가 많지만 '단기 고용'이 일반화된 편의점 점주와 편의점에서 일하는  '시간제 알바'로서는  주휴수당 여부에 민감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편의점에서는 알바직원이 주 15시간 근무할 수 없도록 초단시간 단위로 채용하는 '알바 쪼개기'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주휴수당 폐지 논란은 최저임금이 급등한 문재인 전 정부 때 본격화했으며, 윤석열 정부 들어 노동개혁 과제를 검토해온 미래노동시장연구회는 주휴수당을 없앨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던 최저임금위원회 제1차 전원회의가 파행으로 끝난 것도 특정 공익위원이 미래노동시장연구회 좌장으로 활동했다는 이력을 들어 양대 노총이 반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최저임금위는 사용자위원 9명, 공익위원 9명, 근로자위원 9명 등 총 27명으로 이뤄진다.

한 편의점 점주는 “최저임금을 1만 원대로 올려도 주휴수당 만은 폐지했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한편 노동계는 지난 26일 내년도 최저임금 1만2000원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를 출범하고,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주목을 받았다. 

노동계는 최근의 경제 상황과 노동자 가구 생계비를 고려해 내년도 최저임금 공동 요구안으로 시간당 1만2000원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올해 적용 최저임금(9620원)보다 2380원(24.7%) 많다. 

임영웅 기자 weloveyou@pennmike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