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라메르, '야촌민화 연대기전' 展 
중국 현지 답사후 3년여만에 완성한 
대작 '영락궁 조원도' 공개 
윤화백 특유의 장쾌한 스케일과 필치
'민화는 모사냐, 창작이냐'의 
해묵은 논란에 작품 완성도로 해답 제시

윤인수 화백이 갤러리 라메르에 전시된 대작 '영락궁 조원도'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영락궁 조원도 '부분'. 

야촌(野村) 윤인수 화백의 작품을 보면 '대한민국 민화'의 '길'이 보인다. 

윤 화백은 전통물감으로 채색돼 화려한 색감이 돋보이는 '심장생도' 등의 전통민화는 물론 '꽃병' 시리즈 등을 비롯한 독장척인 착작 세계를 펼쳐온 '민화 1세대 작가'다.

1978년부터 민화 작업에 매달려온 윤 화백은 그동안 무려 15회 이상 되는 개인전과 200여개에 이르는 단체전에 작을 출품하며 21세기 접어들어 일기 시작한 '민화 열풍'에도 큰 기여를 했다. 

최근 종로구 인사동 '라메르갤러리'에서 윤 화백이 6년만에 연 개인전 '야촌 연대기 -상상의 벽을 넘다' 전에 장장 가로 1800cm, 높이 110cm의 대작 '영락궁 조원도'가 선보여 화단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영락궁 조원도(永樂宮  朝元圖)' 는 민화에 대한 서양화 화단이 제기하고 있는 '민화는 모사냐, 창작이냐' 의 해묵은 논란에 '해답'을 제시하는 작품이다. 

영락궁은 중국 산서성 예성현에 있는 도교사원이다. 서기 1247년부터 100여년에 걸쳐 완공된 영락궁 각 전각 내부에는 원대의 도교 벽화들이 보존돼 있고, 조원도는 삼청전에 그려져 있는 벽화다. 

총 면적이 403.3㎡에 달하는 조원도에는 286명의 중국 신화 및 전설속 주인공과 여러 선인들이 등장한다. 

윤 화백이 갤러리 라메르에서 선보이는 이번 작품은 5분의 1정도로 규모를 축소하기는 했지만 100여년에 걸쳐 수십여명의 화공이 완성됐다는 이 품을 불과 몇년만에 한폭의 파노라마로 재현해낸 것이다. 

작품 제작 경위에 대해 윤 화백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2019년 '월간 민화'가 마련한 해외민화 학술답사에서 처음 접한 영락궁 벽화는 경이로움 그 자체였습니다. 벽 전체가 다 그림으로 채워져 있는데 그 웅장함에 압도 당했습니다.  민화를 하는 사람이라면 영락궁 벽화에 대해 꼭 알아야 되겠다 싶고 이 작업을 민화 화단에 보여주고 싶어 붓을 잡았습니다."

청룡이 그려진 윤인수 화백의 사신도. 
윤인수, 행렬도. 
윤인수, 어해도.  
윤인수, 경직도, 33×128×10cm, 2019  
윤인수, 꽃병, 41×53cm, 2023
윤인수, 십장생도, 158×81cm, 2020 

윤 화백의 작품 설명 대로라면 큰 범주에서 볼 때 이 작품도 '모사'의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작품에 가까이 다가가 자세히 살펴보면 윤 화백만의 창의적인 필치가 살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의 표정이 제각기 다 살아있다. 얼굴색이나 각도, 체형과 몸매, 손 모양까지 그림 속에서 금방이라도 뛰어나올 듯 살아있다. 옷자락이 흘러내리는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에 이르면 윤 화백의 탄탄한 공력에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다. 

"벽화에는 도저히 알아볼 수 없는 부분들도 있었고, 이는 제가 상상해가면서 채웠습니다. 2007년 드라마 '태왕사신기'  촬영장 세트벽화 작업이 이번 그림 완성에도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

당시 윤 화백은 드라마 제작사로부터 벽화 의뢰를 받은 옛 고구려 벽화답사까지 하며 작업을 진행했다. 당시 그는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된 벽화를 직접 보고, 연구해가면서 자신의 필치로 재현해 냈다. 

이같은 윤 화백의 작업과정을 보면 그의 민화 작품이 단순히 옛 그림의 모사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정서 '월간 민화' 발행인은 윤 화백의 작품에 대해 "옛 그림의 모사에 중점을 주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작품들은 이번 벽화작품에서도 알 수 있듯 전통민화의 아이덴티티를 새롭게 해석한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중량감 넘치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옜 그림을 새롭게 해석해 그 웅대함을 자신만의 필치로 생생히 되살려 내는 작업. 

윤 화백의 그같은 작업은 마치 세기의 클래식 연주자 레더드 번스타인(1918년~1990)이 구스타프 말러(1860~1911) 교향곡을  번스타인 자신의 특유의 드라마틱한 전개, 잘 계산된 극적인 효과 등을 가미, 재해석해 20세기의 커다란 유산'으로 만들어낸 과정을 연상시킨다. 

그리고 윤 화백이 작업을 하며 보여준 이런 일련의 과정들은 "민화는 모사냐' 창작이냐'의 논쟁 수준을 뛰어넘어 '민화만이 지닌 독특한 창작의 세계'가 어떤 것인지 가늠케 해준다. 

윤 화백의 제자들 모임인 야촌회의 맹순화 회장은 이와관련 "선생님은 전통이 제대로 되지 않고서는 창작을 할 수 없다는 것, 그래서 기초적인 것, 기본부터 잘 구축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신다"고 말했다. 

갤러리 라메르를 찾은 한 미술 애호가가 대작 금강전도(670 142cm)를 살펴보고 있다.  

갤러리 라메르 전시에는 '영락궁 조원도' 외에도 '연대기'라는 전시타이틀에 걸맞게 십장생도경직도, 무인평생도, 화조도, 초충도, 부벽루 연회도, 경직도, 금강전도 등의 대작과 '꽃병 시리즈' 등 윤 화백이 오랜 화업 기간동안 그려온 작품들이 공개된다. 

윤 화백의 오랜 지인이며 역시 화단에서 민화 1세대 작가로 명성이 높은 엄재권 화백은 "이번 전시는 그야말로 뚝심있게 민화 외길을 펼쳐온 윤 화백의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체 작품의 흐름을 만나보게 해주는 전시"라며 "더욱 정진, 우리 민화가 '글로벌 K컬처'로 자리잡는데도 큰 기여를 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전시는 30일까지 계속된다.  

·사진=이경택 기자 ktl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