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국내 대기업의 가동률이 1년 전보다 2%포인트(p) 이상 하락하면서 80% 아래로 떨어졌다. 가동률은 생산능력(계획) 대비 실제 생산실적의 백분율로 산출됐다. 자동차와 제약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가동률이 하락했다.

20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가동률을 공시한 200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들 대기업의 올해 3분기 평균가동률은 78.4%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80.5% 대비 2.1%p 하락한 것이다. 특히 이 같은 수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팬데믹 첫 해인 2020년 3분기(79.4%)보다도 1%p 낮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자재 업종과 조선·기계설비 업종의 하락 폭이 단연 두드러졌다.

건설자재 업종 가동률은 올해 3분기 70.5%로, 전년 동기 77.9% 대비 7.4%p 하락했다. 조선·기계설비 업종의 가동률도 7.4%p 하락했다.

에너지(-6.4%p), 석유화학(-5.4%p), 유통(-3.2%p), 철강(-2.5%p), IT·전기전자(-2.2%p)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14개 업종 가운데서 가동률이 1년 전보다 상승한 곳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2.5%p), 제약(0.8%p) 뿐이었다.

매출 상위 20대 기업으로 보면 기아(12.6%p), 현대모비스(4.4%p), LG에너지솔루션(2.0%p)만 가동률이 올랐고 나머지 기업의 가동률은 모두 줄었다.

올해 3분기 생산능력이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난 기업은 93곳이었다. 실제 생산실적이 증가한 기업은 69곳 뿐이었다. 생산능력 확대에도 나머지 24개 기업은 생산실적이 감소한 것이다. 

기업의 설비 투자로 생산능력은 확대된 반면 경기침체 여파로 생산실적은 그에 미치지 못한 결과로 해석된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